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3세장난감추천
- 4세장난감추천
- 햄버거병치료방법
- 햇님토이정글짐미끄럼트
- 책육아
- LED귀이개
- 안산유치원식중독
- 아이의미래는부모의말에서결정된다
- 틀리기쉬운맞춤법
- 아기LED귀이개
- 햇님토이장난감
- 보드게임
- 물감놀이
- 햄버거병증상
- 12개월장난감
- 인그로운헤어관리
- 햄버거병사망률
- 5살보드게임
- 6살보드게임
- 아기귀이개
- 아이들정글짐
- 보드게임추천
- LED아기귀이개
- 아기귀이개LED
- 맞춤법
- 햇님토이정글짐미끄럼틀세트
- 영유아건강검진
- 7살보드게임
- 인그로운헤어염증
- 정글짐추천
- Today
- Total
★★★ 딸하나 아들하나
감성 보드게임 딕싯 : 이야기꾼이 되어 보세요! 본문
감성 보드게임 딕싯!
보드게임을 출판하는 프랑스 회사의 제품입니다.
보드게임을 추천하는 이유는 단 하나!
요즘 아이들 스마트폰에 빠져서
눈으로 빠져 들기만 하지
창의력 사고력을 키울 환경이 되지 않습니다.
그런데 우리 아이들도,
이웃집의 우리 아이 친구들도 보면
우리집에 와서는 스마트폰보다는
보드게임을 하러 놀러온답니다.
그러다보니 보드게임 전도사가 되어가고 있네요^^
그 중에서도 딕싯이라는 보드게임은
이야기꾼이 되기도 하고,
그 이야기를 바탕으로 추리를 하여
이야기의 카드를 고르는 게임이예요.
게임을 하려면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창의력은 필수겠죠?
이렇게 이야기를 만들다보면
창의력은 분명 좋아질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게임 최소연령은 8세이지만,
이야기를 만들기 좋아하기 시작하는 나이는
6세, 7세때부터인듯 해요.
6세가 하기는 좀 어릴수도 있겠지만,
약간의 룰만 변경한다면
훌륭한 놀이학습이 될 수 있다고 봐요.
유태인의 교육법을 보면
공부는 놀이로 하라는 말이 있습니다.
바로 이 딕싯이 그런 역할을 하게
도와줄 수 있을 것 같구요.
실제로 우리 딸도 즐거운 공부가 될 수 있게
노는 환경으로 학습을 하고 있는데요
나이가 한살씩 먹을때마다 즐거움이
사라지고 공부로 느껴지는 것이 보이고 있어요.
그러다보니 이런 보드게임을 늘 찾게 되네요.
딕싯은 이야기를 만드는 보드게임이라
감성 보드게임이라고 불리는데요,
한게임당 약30-40분정도 걸리고
3명에서 최대6명까지 게임이 가능합니다.
딕싯의 게임방법은 이렇습니다.
1. 1인당 6장의 카드를 나누어 가지고
2. 각자의 색을 정해서 해당 숫자침과 토끼말을 가지고 오고
토끼말은 점수칸의 0에 놓습니다.
3. 차례대로 돌아가면서 이야기꾼이 되는데요,
이야기꾼은 카드 중 한장을 골라서 보이지 않게 내려놓습니다.
카드를 보면 생각나는 단어나 속담, 노래제목
아니면 이야기꾼이 만든 이야기 등을
말해서 카드에 대한 힌트를 줍니다.
4. 다른 사람들은 이야기꾼의 이야기를 듣고
본인의 카드 중에서 가장 비슷한 카드를 골라
보이지 않게 내려놓습니다.
5. 이야기꾼은 카드들을 잘 섞어서
옆으로 나란히 카드를 펼칩니다.
다른 사람들은 이야기꾼의 카드가 어떤 것이지
잘 생각하고 그 카드의 번호를 숫자칩으로
표시합니다.
6. 이야기꾼은 정답을 공개하고,
각자 점수를 얻습니다.
점수내는 방법은
- 모든 사람이 이야기꾼 카드를 맞추면
이야기꾼을 제외하고 모두 2점을 얻습니다.
- 아무도 이야기꾼의 카드를 못맞추면
이야기꾼을 제외한 나머지가 2점을 얻습니다.
- 이야기꾼의 카드를 맞춘사람이 있다면
이야기꾼과 맞춘사람은 3점을 가지고,
-이야기꾼 카드가 아닌 사람의 카드에
숫자칩이 놓여있다면
카드의 주인도 숫자칩개수만큼
점수를 얻게 됩니다.
7. 이렇게 한 게임이 끝나면
사용된 카드는 모두 버리고,
플레이어들은 새로운 카드를 한장 가져와서
6장을 만듭니다.
순서는 이야기꾼 왼쪽 사람이
새로운 이야기꾼이 되어 다음 게임을 이어갑니다.
8. 카드더미가 끝나면 게임은 끝이나고
가장 많은 점수를 얻은 사람이
게임에서 승리하게 됩니다.
딕싯은 총84장의 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같은 카드라도 사람마다 다르게 해석하기 때문에
어떤 카드가 이야기꾼의 카드인지 맞추기
쉽지않습니다.
물론 같은 사람과 계속 게임을 하면
추리가 쉽겠지만요.
이 게임도 오래 즐기려면 코팅이 필요합니다.
가정용 코팅기가 있으면 여러모로 편리해요.
우리집은 카피어랜드 코팅기를 사용하는데
꽤 좋습니다, 강추!!!
'우리집 보드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드게임 할리갈리 총집합! (0) | 2020.02.11 |
---|---|
코딩 보드게임 : 베이스볼게임 기억나나요? (0) | 2020.02.09 |
멘사보드게임으로 불리는 주차퍼즐 <러시아워> (0) | 2020.01.16 |
행복한바오밥 도블 유딩초딩 함께 놀아요! (0) | 2020.01.13 |
루미큐브 숫자로 두뇌회전하기 좋은 보드게임 (0) | 2020.01.12 |